건강정보

당뇨병 환자에서 중성지방이 높아지는 것은 필연이다.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cindy
댓글
0
작성일
25.03.10 10:02:13

본문

당뇨병 환자에서 중성지방(트리글리세리드, TG)이 높아지는 이유와 그로 인한 위험성은 여러 대사적 교란이 서로 얽혀 나타나는 결과입니다. 아래는 당뇨병 환자에게서 흔히 관찰되는 대사 이상과 중성지방 상승의 기전을 단계적으로 설명하고, 이 현상이 초래하는 과학적 위험성을 정리한 것입니다.


1a4b28cafdaa7ae6b554d72a7b21c33e_1741568624_3621.jpg
 

1. 중성지방이 높아지는 이유

(1) 인슐린 작용 저하에 따른 지방 분해 증가

  • 인슐린의 원래 역할: 인슐린은 말초 세포(근육, 지방 등)의 포도당 흡수를 촉진하고, 간과 지방조직에서 ‘지방 분해(lipolysis)’를 억제하는 역할을 합니다.

  • 인슐린 저항성 또는 인슐린 부족: 제2형 당뇨병(인슐린 저항성)이나 제1형 당뇨병(인슐린 부족)에서는 혈중 인슐린이 부족하거나, 세포가 인슐린 신호에 둔감해집니다. 이로 인해 지방조직에서 **호르몬 민감성 리파아제(HSL, Hormone-Sensitive Lipase)**가 충분히 억제되지 않습니다.

  • 지방 분해 증가: 인슐린이 제 역할을 못하면 지방조직에서 **유리지방산(FFA, Free Fatty Acid)**이 다량 방출되어 혈액 속 농도가 증가합니다.

(2) 간에서의 중성지방 합성 증가

  • 간으로 유입되는 유리지방산 증가: 혈액 내로 쏟아져 나온 유리지방산이 간세포로 유입됩니다.

  • 중성지방 합성 & VLDL 분비 증가: 간은 유입된 유리지방산을 재에스터화(re-esterification)하여 중성지방을 만들고, 이를 VLDL(초저밀도 지질단백질) 형태로 혈액으로 내보냅니다.

  • 고중성지방혈증 발생: 결국 혈중 중성지방 수치가 높아지면서, 흔히 ‘고중성지방혈증’이라고 불리는 지질 이상 상태가 발생합니다.

(3) 혈당 조절 불량과 연관된 악순환

  • 혈당이 높으면 인슐린 분비가 증가해야 하지만, 베타세포 기능이 떨어지거나 인슐린 자체가 부족하면 혈당 조절이 어렵습니다.

  • 인슐린 저항성 심화: 혈당이 높아지면서 인슐린이 과도하게 분비되거나, 적정한 인슐린 분비가 안 되어 지방 분해 억제가 더욱 어려워지고, 이로 인해 유리지방산 및 중성지방 상승이 심해집니다.

  • 글루코-리포톡시시티(Glucolipotoxicity): 고혈당과 고지방산이 동시에 존재하면 췌장 베타세포 기능이 떨어지고, 말초 세포의 인슐린 저항성이 악화하는 악순환을 유발합니다.


1a4b28cafdaa7ae6b554d72a7b21c33e_1741568653_6085.jpg

2. 중성지방 상승의 과학적 위험성

(1) 죽상동맥경화(Atherosclerosis) 위험 증가

  • 당뇨병성 이상지질혈증: 당뇨병 환자에게서 흔히 관찰되는 지질이상은 높은 중성지방, 낮은 HDL 콜레스테롤, 소형 LDL 증가로 요약됩니다.

  • 죽상동맥경화 촉진: 중성지방이 높고 HDL이 낮으면, LDL도 변형(산화)되기 쉬워지며 혈관벽에 침착되어 죽상동맥경화가 진행될 가능성이 큽니다.

  • 심뇌혈관 질환 위험: 결국 심근경색, 뇌졸중 등 심뇌혈관 질환의 위험이 유의미하게 증가합니다.

(2) 지방간(비알코올성 지방간질환, NAFLD) 발병 위험 증가

  • 간 내 지방 축적: 고중성지방혈증은 간에도 지방이 축적되는 원인이 됩니다.

  • 염증 & 섬유화 유발: 지방간이 심해지면 간세포 손상이 나타나고, 만성적으로 진행되면 간염(NASH), 섬유화, 간경변증 등의 합병증 위험이 증가합니다.

(3) 대사증후군과 연관성

  • 복부비만, 고혈압, 고중성지방, 저HDL: 중성지방 상승은 대사증후군의 주요 지표 중 하나이며, 이 질환군과 함께 있을 때 심혈관계 합병증으로 이어질 위험성이 배가됩니다.

(4) 말초 조직의 대사 이상 심화

  • 지방산에 의한 인슐린 저항성 악화: 근육, 간 등 말초 조직에 지방산이 축적되면 인슐린 신호전달 경로가 저해되거나, 포도당 이용이 더욱 감소합니다.

  • 에너지 대사 불균형: 결국 포도당과 지방산 모두 적절히 대사되지 못하고, 혈당 조절이 더 어려워지며 지방 대사도 비정상적으로 흐르게 됩니다.


3. 정리

당뇨병 환자에서 중성지방이 높아지는 핵심 메커니즘은 인슐린 저항성(또는 결핍)으로 인해 지방조직 분해가 과도해지고, 간에서 중성지방 합성이 늘어나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상승한 중성지방은 혈관벽에 축적되어 죽상동맥경화를 촉진하고, 심혈관 질환 및 간 질환의 위험을 높이며, 더 나아가 대사증후군과 연관되어 심각한 건강 문제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당뇨 환자는 혈당 조절뿐만 아니라 지질 수치(특히 중성지방)를 주기적으로 확인하고, 식이·운동·약물 등을 통해 철저히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관련 제품